생활

💰 [2025년 최신] 국민연금과 기초연금, 언제부터? 얼마나 받을까?

계룡하루 2025. 4. 6. 21:11
반응형

“나는 언제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지?”
“기초연금은 국민연금과 어떻게 다르지?”

막상 나이 들어 가까워지면 복잡하게 느껴지는 연금 제도,
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정부 자료와 전문가 상담 기준으로 정확하게 설명드릴게요.


1. 국민연금: 내가 낸 만큼 돌려받는 연금

 수령 나이

  • 만 62세~65세부터 수령 가능
  • 출생 연도별로 다릅니다.
    • 1953년생까지: 만 60세
    • 1954년생 부터 1968년생은 만61세 부터 만64세까지 단계적시행
    • 1969년 이후 출생자: 만 65세부터 수령

 수령 조건

  • 최소 10년(120개월) 이상 가입해야 수령 가능
  • 10년 미만은 반환일시금으로 일시금 지급

 얼마나 받을까?

  • 본인이 낸 금액, 가입 기간, 평균소득에 따라 다름
  • 2025년 기준 평균 수령액: 월 60만 원대
  • 많이 낸 분은 월 100만~200만 원 이상도 가능

2. 기초연금: 일정 연령 이상 소득이 적은 사람에게 주는 연금

 수령 나이

  • 만 65세 이상

 수령 조건

  • 소득인정액 기준이 중요
    • 단독가구: 약 월 202만 원 이하
    • 부부가구: 약 월 323만 원 이하
  •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 가능 (국민연금 가입 여부와 무관)

 얼마나 받을까?

  • 2025년 기준 최대 월 334,000원 (단독 기준)
  • 부부 두 분 다 받을 경우 감액될 수 있음

 국민연금 vs 기초연금 차이 정리

항목국민연금기초연금
수령 나이 62~65세 만 65세 이상
지급 조건 10년 이상 납입 소득·재산 기준 충족
수령 방식 납입금에 따라 정액 혹은 감액 지급
중복 수령 가능! 국민연금 있어도 가능

 국민연금이 있어도 소득이 낮으면 기초연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!

 연금 수령 계산기 (예시 안내용)

실제 계산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https://nps.or.kr)에서 가능합니다.

가입기간월 납입액예상 수령액 (65세부터)총 예상 수령

 

10년 90,000원 약 35~45만 원 약 1억 원 전후
20년 150,000원 약 70~90만 원 약 2억 원 이상
30년 200,000원 약 100~120만 원 약 3억 원 이상

 계산 기준: 평균 소득자 기준, 물가변동 반영 안 함
 국민연금공단 내 연금 알아보기에서 본인 맞춤 계산 가능


2025년 연금 변화 요약표

2025년에는 몇 가지 제도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요. 아래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.

항목2024년2025년 변화 내용
국민연금 수령 나이 1963년생: 만 63세부터 1964년생: 만 64세부터 수령 시작
기초연금 최대 금액 월 323,180원 월 334,000원으로 인상
기초연금 소득 기준 단독가구: 약 202만 원 유지 (단, 하반기 조정 가능성 있음)
기초연금 부부 감액 20% 감액 적용 동일하게 유지

1962~1964년생 국민연금 수령 시기 정리

국민연금은 **출생연도에 따라 수령 가능한 나이(개시연령)**가 다릅니다.
이 기준은 점진적 연령 상향 정책에 따른 것으로, 아래 표에서 쉽게 확인해 보세요.

 

출생연도국민연금 개시 연령수령 시작 가능 시점예시 생일 기준

 

1962년생 만 63세 2025년 해당 생일 월부터 1962년 6월생 → 2025년 6월부터
1963년생 만 63세 2026년 해당 생일 월부터 1963년 12월생 → 2026년 12월부터
1964년생 만 64세 2028년 해당 생일 월부터 1964년 3월생 → 2028년 3월부터

 예를 들어 보면?

  • 1962년 3월생 → 2025년 3월부터 수령 가능
  • 1963년 12월생 → 2026년 12월부터 수령 가능
  • 1964년 11월생 → 2028년 11월부터 수령 가능

※ 단, 10년 이상 가입 기간이 충족되어 있어야 하고,
신청은 수령 개시 연령 직전부터 준비하는 것이 좋아요.


 조기 수령도 가능할까?

항목내용
조기 연금 가능 연령 만 60세부터 가능
조건 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 + 신청
주의사항 최대 30% 감액 (조기 신청 시 1년당 약 6% 감액)

 연금 신청은 어떻게?

국민연금 신청 방법

  •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 또는 방문 신청
  • 1355(국민연금 콜센터)로 상담 가능

 기초연금 신청 방법

  • 읍면동 주민센터 또는 복지로 홈페이지
  • 신청서 작성 + 소득/재산 심사 진행

 마무리 정리

 국민연금은 “내가 낸 만큼 받는 연금”
 기초연금은 “소득이 적으면 나라에서 주는 복지형 연금”

 두 가지를 함께 받을 수도 있고,
 조건만 맞으면 꼭 신청해야 손해 안 봅니다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