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

📰 트럼프 관세 유예와 중국 반격, 주식시장엔 어떤 파장이?

계룡 환장혀 2025. 4. 10. 11:39
반응형

2025년 4월 10일, 전 세계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습니다. 특히 미국과 한국 시장은 역사적인 급등세를 기록했는데요. 그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와 이에 맞선 중국의 강력한 보복 조치가 있었습니다.

이 국제적 이벤트가 왜 시장을 뒤흔들었는지,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와 주식시장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트럼프의 ‘90일 관세 유예’와 중국의 초강수 대응

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부분 국가에 대해 90일 간 관세를 유예하는 결정을 발표했습니다. 하지만 중국은 예외였습니다.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125%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고, 이에 대해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84%의 보복 관세로 맞섰습니다.

출처: Yahoo Finance, CBS News

이러한 미중 간의 긴장 고조는 시장의 리스크 요인이지만, 아이러니하게도 투자자들은 이를 **“예측 가능한 불확실성”**으로 받아들이며 호재로 해석했습니다.


글로벌 증시 폭등, 역사적인 상승률 기록

이번 발표 이후, 글로벌 주식시장은 다음과 같은 급등세를 보였습니다:

  • 🇺🇸 미국 증시
    • 나스닥: +12.1% (24년 만의 최대 상승률)
    • S&P 500: +9.5%
    • 다우존스: +7.8%
    출처: ABC News
  • 🇰🇷 한국 증시
    • 코스피: +4.91%
    • 코스닥: +4.46%
    • 코스피200, 코스닥150 선물 지수는 사이드카 발동
    출처: 매일경제
  • 🇨🇳 중국 상하이종합지수: +0.7%

이처럼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증시는 ‘정치 리스크를 기회로 해석’하는 방향으로 반응한 모습입니다.

 


한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

우리나라처럼 미국과 중국 모두에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이번 사태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📉 부정적 영향 예상 업종

  • 반도체/디스플레이: 중국 수출 감소 가능성
  • 자동차·철강·화학: 수요 위축과 가격 경쟁 격화 우려

📈 반사이익 기대 업종

  • 방산주
  • 농산물·원자재 ETF: 중국 수입 차질 → 대체 수요 기대
  • 달러 자산: 환율 상승 기대

향후 주식시장 전략은?

오늘 같은 급등장 뒤에는 항상 조정이 올 수 있기에,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.

  1. 추격 매수는 지양하고 분할 매수 전략 유지
  2. 정치 이벤트 중심의 단기 급등은 언제든 되돌릴 수 있음
  3. 환율, 금리, 유가 등 매크로 변수도 병행 체크

 

반응형